자신이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 따라서나 보드의 IP 주소가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이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나도 좀 까먹거나 헷갈리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GUI 환경에서 설정이 아닌 파일을 조작하여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GUI 환경이 궁금하다면 다른 것을 참고하기를.
우선 나의 환경은 이렇게 되어 있다.
하나의 공유기를 통해서 작업 PC와 RPi 보드가 연결되어 사용하는 환경이다.
RPi 보드에 Raspbain 올리는 동작은 생략하고, Raspbain을 SD 카드에 쓰고 처음 동작시키는 설정으로 설명한다.
우선은 공유기를 제어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한다. 이 부분은 각자의 공유기가 다르니까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유분의 모니터가 있다면 과감히 넘어가도록 하자.
(모니터에 연결해서 IP 주소를 설정하면 된다.)
raspberrypi 라는 이름으로 IP 주소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는 PuTTY를 사용하여 RPi 보드로 접속한다. 각자의 방법으로 RPi 보드로 접속하자.
RPi 보드에 처음으로 접속한 경우 ID와 Password는 RPi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도록 하자.
("LOGGING INTO YOUR RASPBERRY PI"부분을 참고하자.)
처음 접속을 하고 자신의 홈 디렉터리에서 vi를 통해서 파일을 수정하여 IP 주소를 설정한다.
우리가 수정할 파일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이다. 이 파일을 수정하려면 sudo 권한이 필요하다.
$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eth0 라는 단어가 보이는데 이 부분이 유선 설정을 의미한다.
iface eth0 inet manual
manual 이라고 되어 있으면 RPi 보드의 IP 주소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동작한다.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설정하고자 하는 ip 주소]
netmask [사용하는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gateway [사용하는 게이트웨이]
auto eth0 부분을 삽입하고 manual 부분을 static 이라고 수정한다.
address, netmask, gateway 부분을 자신이 사용하는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저장해주면 된다.
수정을 마쳤다면 보드를 다시 시작시켜 보자.
보드가 다시 켜지고 수정한 IP 주소로 접속하여 IP 주소를 확인하면
RPi 보드의 주소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으로 RPi 보드의 IP 주소 변경 완료!